학사학위 과정 Diplôme de 1er cycle supérieur (1~2년):
모집대상 – 학사학위 소지자 또는 대학졸업 예정자
3월 말~4월 초 : 학위취득을 위한 1차 시험 (서울캠퍼스 자양스테이션)
- 스케일, 아르페지오, 종지법 포함 (학위시험 프로그램으로 제출하는 모든 곡의 해당 조와 관계조)
- J. S. Bach 의 중요한 연주곡 (편곡 작품 제외)
- 쇼팽 에튜드
- 학위시험 파이널 연주시험 프로그램으로 제출한 1.2.3번의 곡 중 한 곡
6월 : 학위취득을 위한 파이널 연주시험 프로그램 (파리 본교 연주홀 Salle Cortot)
- 1750~1822
- 1823~1900
- 1901 이후 작품 (1+2+3= 20분 이상 자유곡)
- 협주곡 한 악장 (바로크, 클래식, 1805년 이전 작곡가)- 한 악장이 5분 이내이면 두 개의 악장을 연주해야함
- 지정곡 (시험 5~7주 전)
*** 파이널 연주시간은 20~25분으로 심사위원이 정해주는 곡을 연주한다. 연주할 곡은 연주 직전에 무대위에서 알려준다. 심사위원은 연주 도중 중단시킬 수 있다.
석사학위 과정 Diplôme de 2ème cycle supérieur (1~2년):
모집대상 – 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졸업 예정자
학위취득을 위한 1차 시험
- 소나타 한 악장 (심사위원 지정)
- 에튜드
- 파이널 연주시험 프로그램 1,2,3 중 한 곡 선택
학위취득을 위한 파이널 연주시험 프로그램
- 1830년 이전
- 1830~1900
- 1900~1960
- 1960년 이후 작품 (4개의 시대 작품중 소나타, 에튜드, 프랑스 작곡가의 곡을 포함시켜야 함)
- 1805~20세기 협주곡 한 악장 또는 두개의 악장(한악장의 길이가 10분 이내인 경우)
- 지정곡 (시험 5~7주 전)
*** 파이널 연주시간은 45~50분으로 심사위원이 정해주는 곡을 연주한다. 연주할 곡은 연주 직전에 무대위에서 알려준다. 심사위원은 연주 도중 중단시킬 수 있다.
아티스트 디플로마 과정 (Diplôme Supérieur de Concertiste) 2년 과정:
모집대상 – 에꼴노르말 석사학위 Diplôme de 2ème cycle supérieur 소지자 및 국외 (프랑스, 미국, 독일) 유명 대학 석사학위 소지자
3월 말~4월 초 : 1학년 학위취득을 위한 패스시험 (서울캠퍼스 자양스테이션)
- 학위 시험 45분 리싸이틀 프로그램에 관한 기획안 제출
- 전체 프로그램에서 발췌한 곡으로 20분 정도 연주
- 프로그램에 관한 학생 본인의 의견과 심사위원의 의견을 조율하는 인터뷰
5월 중순 : 2학년 파이널 연주시험 프로그램 (파리본교 연주홀 Salle Cortot)
- 45분 리싸이틀 (무대 입장과 퇴장, 곡 중간의 쉬는 시간 포함)
- 이 프로그램이 학생의 예술적 능력과 개성을 발휘하는가에 평가 기준이 있다.
- 지도교수의 책임하에 학교장의 동의를 받아서 구성된 이 프로그램은 학생의 자율적인 의지로서 2년간에 걸쳐 준비하기로 한다.
- 에꼴노르말 Diplôme de 2ème cycle supérieur 과정을 최고점(avec les félicitations du jury)으로 졸업한 자는 1학년 통과시험을 면제 해준다.
- 전체 1등 한 명에게 주어지는 PRIX CORTOT 코르토 상 (Alfred Cortot: 20세기 프렌치 피아니즘의 거장,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코르토, 에꼴노르말의 창립자) 수여자에게는 상금과 리코딩, 유럽 데뷔 연주 등 부상이 주어진다. 한국인으로서는 2023년에 이혁 피아니스트가 받았다.